익산 버스 33, 39

덤프버전 : (♥ 0)

||
좌석
간선
일반
순환
지선
행복
폐선
[ 펼치기 · 접기 ]

김제, 전주(조촌동, 여의동) 방면
1,번대,1011,-1,1213,-1,
1516171819
80
오산, 군산(임피, 서수, 대야) 방면
2024,번대,252728
3031,-1,77
황등, 함라, 웅포, 강경, 방면
333435,-1,3637
3839,-1,
삼기, 금마, 팔봉동, 삼성동, 방면
13-14041,-1,5556,-1,
5758105
춘포, 왕궁, 삼례, 봉동 방면
596667,-1,6970
71737578
시내
1107,번대,
막차 시간대 한정 운행 노선
4447486065




1. 노선 정보
1.1. 33번
1.2. 39번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1.1. 33번[편집]


익산시 시내버스 33번
기점전라북도 익산시 송학동(송학지안리즈아파트)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대흥리(강경대흥시장)
종점행첫차09:09기점행첫차07:27
막차18:58/20:18(낭산사거리 착)막차19:12
배차간격1일 4.5회(2.4주 토, 공휴일)/1일 5.5회(그 외)
노선송학지안리즈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동주민센터 - 익산역 - 중앙시장 - 익산시청 - 익산금호어울림 - 원광대병원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율동 - 상마 - 삼기파출소 - 원촌 - 석불사거리 - 외성 - 장암 - 신북 - 내돈 - 낭산사거리 - 낭산 - 제내삼거리 - 어양리 - 망성면사무소 - 수월 - 조흥아파트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강경대흥시장 → 법원.검찰청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강경 방향삼기파출소 06:30
송학지안리즈 방향없음
중간 종료 정류장
강경 방향낭산사거리
송학지안리즈 방향없음


1.2. 39번[편집]


익산시 시내버스 39번
기점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신창)
전라북도 익산시 송학동(송학지안리즈아파트)
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대흥리(강경대흥시장)
종점행첫차06:28기점행첫차06:48(평일)/08:02(2.4주 토, 공휴일)
막차18:14(2.4주 토, 공휴일)/19:38(평일)
20:58(어양리 종착)/21:39(삼기 종착)
막차20:37(2.4주 토, 공휴일)/21:07(그 외)
배차간격1일 7회(주말, 공휴일)/1일 9회(평일)
노선(신창 - 척산 - 송정입구 - 유강리종점)(송학지안리즈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동주민센터)[1] - 익산역 - 중앙시장 - 익산시청 - 익산금호어울림 - 원광대병원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율동 - 상마 - 삼기파출소 - 원촌 - 석불사거리 - 외성 - 우금 - (상낭 - 장암 - 신북)[2] - 내돈 - 낭산사거리 - 낭산 - 제내삼거리 - 어양리 - 망성면사무소 - 수월 - 조흥아파트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강경대흥시장 → 법원.검찰청 → 이후 역순

중간 출발 정류장
강경 방향없음
송학지안리즈 방향낭산 06:30
중간 종료 정류장
강경 방향어양리, 삼기파출소
송학지안리즈 방향없음

익산시 시내버스 39-1번
기점전라북도 익산시 송학동(송학지안리즈아파트)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대흥리(강경대흥시장)
종점행첫차07:49기점행첫차09:32
막차17:34막차19:52
배차간격1일 4회
노선송학지안리즈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동주민센터 - 익산역 - 중앙시장 - 익산시청 - 익산금호어울림 - 원광대병원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율동 - 상마 - 삼기파출소 - 원촌 - 석불사거리 - 외성 - 우금 - 외돈 - 시명 - 낭산면사무소 - 낭산사거리 - 낭산 - 제내삼거리 - 어양리 - 망성면사무소 - 수월 - 조흥아파트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강경대흥시장 → 법원.검찰청 → 이후 역순

익산시 시내버스 39-2번
기점전라북도 익산시 송학동(송학지안리즈아파트)종점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대흥리(강경대흥시장)
종점행첫차09:49기점행첫차11:32
막차16:34막차18:12
배차간격1일 3회
노선송학지안리즈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동주민센터 - 익산역 - 중앙시장 - 익산시청 - 익산금호어울림 - 원광대병원 - 원광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우남아파트 - 황등역 - 황등면사무소 - 율동 - 상마 - 삼기파출소 - 원촌 - 석불사거리 - 외성 - 우금 - 낭산사거리 - 호천 - 하발 - 중발 - 야정 - 고산 - 망성초교 - - 망성면사무소 - 수월 - 조흥아파트 - 법원.검찰청 → 강경시외버스터미널 → 강경우체국 → 강변타운 → 강경대흥시장 → 법원.검찰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익산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


3. 역사[편집]


  •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1960~70년대 익산에 버스가 다니기 시작할 때 신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 장신지구에 입주가 시작되면서 2011년 1월 23일에 모두 '동산동비사벌아파트 - 동익산 - 평화동주민센터' 구간이 '장신휴먼시아 -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변전소 ←) - 송학동'으로 바뀌었다. 익산시 공지사항

  • 노선 모두 '장신휴먼시아 -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변전소 ←) - 송학동' 구간이 '송학지안리즈 - 장신휴먼시아3단지 - 모현도서관 - 배산에코르아파트 - 송학동'으로 변경, 연장되었다.

  • 어양리 종착 시간대는 본래 39-1번 소속(장신휴먼시아 21:00)이었으나 39번 소속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39-1번 소속이었던 하발, 야정 경유 시간대가 39-2번으로 분리되었다.

  • 2018년 7월 15일에 33번이 1일 4.5회에서 5.5회로 증회되었으며, 출발 시각이 조금씩 바뀌었다. 39번은 신창 출발 시간대가 터미널에서 출발해 신창에 들어갔다 나오는 걸로 연장되었고, 출발 시각이 조금씩 바뀌었다. 그리고 1일 10회에서 9회로 감회되었다.


4. 특징[편집]


  • 익산과 강경을 이어주는 주요 노선이며, 이 세 가지 노선 외에 50번과 61번이 보조해준다.

  • 33, 39, 39-1, 39-2번 노선 모두 기종점이 같은데 아래에 표기하는 구간만 다르게 간다. 통합 배차간격은 30~60분이다.

번호경유노선
33(하낭) - (하낭교)
39하낭교 - 하낭 - 우금 - (상낭) - (마당바우) - (북성삼거리) - 내돈 – 외돈 – 시명 – 하북지 – 상북지
39-1장평 – 상단 – 하단 – 노동 - 명천 - 하북지 - 낭산면사무소 – 상북지
39-2내성 - 하낭교 - 하낭 - 우금 - (상낭) - (마당바우) - (북성삼거리) - 내돈 - 외돈 - 시명 - 하북지 - 상북지 – 호천 - 하발 - 상발 - 중발 - 야정 - 동촌 - 고산 - 신리

  • 삼기면소재지에서는 면사무소로 들어가지 않고 파출소에서 바로 외곽도로로 빠진다.

  • 39번은 하루 1번 상낭과 하낭을 경유한다.

  • 저녁에는 세 노선이 강경에서 각각 번호를 서로 바꾸고 운행한다.

  • 2022년 11월 15일 익산시 시내버스 지간선제 시행으로 유일하게 익산 시내에서 강경읍으로 향하는 노선이 되었다.[3]

주행영상 : https://youtu.be/BQzM9owV_jo?si=72S6sLavNh7Xouy4 (39-2번)

4.1. 시간표[편집]


2018년 7월 15일 기준이다. #

기존 시간표(2015년 1월 10일 기준)은 이 쪽을 참조. #


5. 연계 철도역[편집]


  • 일반 철도역 : 익산역(KTX, SRT,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서해금빛열차), 황등역(여객업무 미실시), 강경역(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2:47:48에 나무위키 익산 버스 3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루 한 번 터미널에서 출발해 신창에 갔다가 돌아온 뒤 본선으로 합류한다.[2] 1일 1회 경유.[3] 2100번이 강경우체국에서 하루 2번 익산 시내까지 연장 운행하고 터미널에서 강경읍까지 하루 1번 운행하지만 이 마저도 아침 시간 아니면 저녁 막차 시간이라 사실상 이 노선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